일반적으로 분량이란 무게, 부피, 수량 등의 많고 적음과 크고 작은 정도를 말합니다. 하나님으로부터 응답받는 영적인 믿음에도 분량이 있어서 각 사람에 따라 크고 작은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믿음이 큰 사람은 마음에 품기만 해도 응답받을 수 있지만, 어떤 사람은 하루를 금식하거나 간절히 기도해야 응답받을 수 있고 이보다 믿음이 작은 사람은 몇 달간 혹은 수년간 기도해야 겨우 응답받게 됩니다.
1. 사람마다 다른 믿음의 분량
만일 하나님 말씀대로 살지 않는 사람이 “저를 대통령이 되게 해 주세요.” 혹은 “미운 사람이 있으니 그를 징계해 주세요. 믿습니다.”라고 기도해서 응답받는다면 얼마나 많은 사람이 고통을 받겠습니까? 하나님께서는 아무에게나 영적인 믿음을 주시지 않습니다. 하나님 말씀을 그대로 믿고 지켜 행하는 사람만이 영적인 믿음을 소유할 수가 있지요. 그래서 야고보서 2장 26절에 “영혼 없는 몸이 죽은 것같이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니라” 말씀한 것입니다.
우리가 영적인 믿음을 소유하려면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여 성령을 선물로 받고 합당한 자격을 갖추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버리라고 말씀하신 미움, 다툼, 시기, 질투, 간음 등을 철저히 버리고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대로 원수까지도 사랑하는 사람이 되는 만큼 영적인 믿음을 소유할 수가 있습니다.
마태복음 15장 22절 이하를 보면 예수님께서 믿음이 크다고 칭찬하시며 즉시 응답하신 내용이 나옵니다. 가나안 지방의 여인이 예수님께 나아와 “주 다윗의 자손이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내 딸이 흉악히 귀신 들렸나이다” 하고 소리 질렀습니다. 이때 예수님께서는 여인의 믿음을 시험하시고자 “나는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 외에는 다른 데로 보내심을 받지 아니하였노라” 말씀하십니다. 그래도 이 여인은 조금도 불편해하거나 속상해하지 않고 오히려 예수님께 절하며 다시 간청합니다. 그런데도 예수님께서는 “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치 아니하니라” 하며 거절하시지요.
이런 경우, 대부분 사람은 심한 수치심을 느끼며 자존심이 상하거나 낙심하여 응답받기를 포기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이 여인은 절대 실망하지 않고 “주여 옳소이다 마는 개들도 제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를 먹나이다” 하며 변함없이 겸손한 고백을 합니다. 자신을 개에 비유하며 끝까지 믿음으로 강청한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이러한 믿음의 행함을 기뻐하시고 “여자야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 말씀하셨고, 그 시로 가나안 여인의 딸이 낫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마태복음 17장 14절 이하를 보면 예수님께서 믿음이 없다고 책망하신 내용이 나옵니다. 어떤 사람이 간질로 심히 고생하고 있는 아들을 예수님께 데리고 와서 무릎을 꿇고 말했습니다. “주여 내 아들을 불쌍히 여기소서 저가 간질로 심히 고생하여 자주 불에도 넘어지며 물에도 넘어지는지라 내가 주의 제자들에게 데리고 왔으나 능히 고치지 못하더이다” 그러자 예수님께서는 “믿음이 없고 패역한 세대여 내가 얼마나 너희와 함께 있으며 얼마나 너희를 참으리요 그를 이리로 데려오라” 하시고 그 즉시 귀신을 쫓아내고 치료해 주셨지요.
이때 제자들이 “우리는 어찌하여 쫓아내지 못하였나이까?” 물으니, 예수님께서는 “너희 믿음이 적은 연고니라” 답하시고는 “너희가 만일 믿음이 한 겨자씨만큼만 있으면 이 산을 명하여 여기서 저기로 옮기라 하여도 옮길 것이요 또 너희가 못할 것이 없으리라” 권면하십니다. 영적인 믿음은 겨자씨만 한 작은 믿음이라도 차츰 성장해 산을 옮길 만한 큰 믿음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에스겔 47장에 나오는 믿음의 분량
성경에는 요한일서 2장 외에도 영적인 믿음의 성장 과정에 대한 비유의 말씀이 있습니다. 에스겔 47장에는 물이 성전의 문지방 밑에서 솟아 나와 동으로 흐르다가 성전 우편 제단 남편으로 흐르고 다시 북문을 지나 바깥문을 통해 성전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모습이 나옵니다.
여기서 물은 영적으로 하나님 말씀을 의미하며(요 4:14), 물이 성전 안을 두루 흐르고 난 뒤 성전 밖으로 흘러나간다는 것은, 하나님 말씀이 성전 안에서 선포될 뿐 아니라 성전 밖인 세상으로 널리 퍼진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에스겔 47장 3~5절을 보면 어떤 사람이 손에 줄을 잡고 성전에서 나온 물이 사람의 몸에 차오르는 높이를 측량하여 물을 건너게 합니다. 이는 장차 백보좌 대심판 때 주님께서 각 사람의 믿음을 측정하시고 그에 따른 준엄한 심판을 내린다는 의미입니다. 일천 척을 척량한 후에 물을 건너게 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넓고 크신 마음과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정확하심과 모든 분야를 헤아리시는 깊은 마음으로 각 사람의 믿음을 종합적으로 측정하신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손에 줄을 잡고 측량하는 사람은 주의 사자를 의미하며, 그가 손에 줄을 갖고 있다는 것은 각 사람의 믿음의 분량을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측정한다는 것을 뜻하지요. 또한 주의 사자가 일천 척을 척량할 때마다 물이 발목에서부터 점점 무릎과 허리, 그리고 그 이상으로 차오른다는 것은 바로 영적인 믿음의 성장 과정을 나타낸 것입니다. 그러면 성전에서 나온 물이 사람의 몸에 차오르는 높이와 믿음의 분량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3절에 성전에서 나온 물이 사람의 ‘발목’까지 찼다는 것은 자녀들의 믿음, 곧 겨우 구원받을 만한 믿음을 소유한 상태를 말합니다. 믿음의 분량을 사람의 키에 비유하면 발목 정도 된다는 것입니다. 4절에 성전에서 나온 물이 ‘무릎’까지 찼다는 것은 아이들의 믿음을 의미하며, ‘허리’까지 찼다는 것은 청년들의 믿음을 소유한 상태를 말하지요. 5절에 사람의 키를 넘을 만큼 물이 창일하여 ‘헤엄할 물이요 사람이 능히 건너지 못할 강이더라’ 했는데, 이는 장성한 아비들의 믿음을 뜻합니다.
3. 믿음의 분량에 따라 지혜롭게 생각해야
하나님께서는 모든 것을 감찰하시고 행한 대로, 심은 대로 거두게 하시는 분입니다. 그래서 로마서 12장 3절에 “내게 주신 은혜로 말미암아 너희 중 각 사람에게 말하노니 마땅히 생각할 그 이상의 생각을 품지 말고 오직 하나님께서 각 사람에게 나눠 주신 믿음의 분량대로 지혜롭게 생각하라” 권면하십니다.
만일 지혜로운 사람이 깊은 바다에 들어가고자 한다면 어떻게 할까요? 물이 발목까지 차는 곳에서는 헤엄을 칠 수 없으니 ‘걸어가거나 뛰어가야지.’ 할 것입니다. 또한 물이 허리를 지나 가슴까지 차는 곳이라면 당연히 걸어가거나 뛰어가려고 하지 않고 ‘헤엄을 쳐야지.’ 생각할 것입니다.
이처럼 물이 차오르는 높이에 따라 생각이 달라지듯이 영적으로도 아이들의 믿음을 소유한 사람과 아비들의 믿음을 소유한 사람의 생각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하나님께서 각 사람에게 나눠 주신 믿음의 분량에 따라 지혜롭게 생각하는 것이 마땅하며 그 이상의 생각을 품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창세기를 보면 아브라함이 하나님께 믿음을 인정받아 독자 이삭을 하나님 약속의 씨로 받았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독자 이삭을 번제로 바치라고 명하십니다. 이때 아브라함은 ‘어찌하여 하나님께서는 약속의 씨로 주신 이삭을 번제로 드리라고 명하시는 것인가? 하나님께서도 약속을 어기시는 분인가?’ 고민하지 않습니다. 히브리서 11장에 기록된 대로 ‘하나님께서는 식언치 않으시는 분이니 능히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실 것이라.’ 하고 지혜롭게 생각하지요.
결국 아브라함은 오직 믿음으로 순종합니다. 조금도 의심하지 않고 하나님 앞에 겸비한 자세로 독자 이삭을 결박해 단 나무 위에 놓고 번제로 드리고자 했지요. 그러자 하나님께서는 멈추게 하시고 “네가 네 아들 네 독자라도 내게 아끼지 아니하였으니 내가 이제야 네가 하나님을 경외하는 줄을 아노라” 하시며 독자 이삭을 살려 주십니다. 이로 인해 아브라함은 더욱 하나님의 인정과 사랑을 받고 믿음의 조상, 하나님의 벗이 되는 놀라운 축복도 받았습니다.
이처럼 믿음의 분량에 따라 축복과 응답이 다르다는 사실을 깨달아 날로 영적인 믿음을 성장시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믿음을 소유해야 하겠습니다.
2024-02-02